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키마의 특성과 기능, 독서 지도 모형, 동기유발

by 맨발의 롱이 2023. 12. 23.

스키마의 특성과 기능, 독서 지도 모형, 동기유발

스키마의 특성과 기능

스미카는 사람이 가진 경험의 종합적인 모든 것입니다. 바틀레트가 이야기한 스카마는 과거 경험의 능동적 조직이기 때문에 이 경험의 총체라는 것은 유기적이고 상황에 따라 변화합니다. 스키마는 여러 하위 요인들이 있습니다. 또 다른 하위 스키마를 포함합니다.

 

스키마는 사전적인 개념이 아닌 백과사전적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하위 구성 요소 간에 복잡하게 연결된 망상구조입니다. 스키마는 정보망의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스키마는 능동적인 활동 과정입니다. 스키마의 유형에는 내용 스키마와  구조 스키마가 있습니다. 내용 스키마는 배경지식의 구조를 말합니다. 구조 스키마는 저자의 이야기 전개 방식에 관해 독자가 아는 지식입니다. 소설, 전래 동화, 설명글, 주장글 등 종류에 따른 관습적인 구조가 있습니다.

 

스키마의 기능을 한우리 양성과정을 듣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읽기 자료에 있는 정보를 수용하기 위한 이상적인 지식의 구조를 형성하게 해 줍니다. 스키마는 중요한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를 선택하도록 해 줍니다. 추론 과정을 통해서 나와있지 않은 행간의 정보도 찾아줍니다. 스키마는 어떻게 읽을지 탐색하는 순서와 절차를 제공해 줍니다. 스키마의 기능으로 읽은 내용을 요약하게 해 줍니다. 스키마는 알고 있는 것이 새로운 학습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알고 있는 만큼 배울 수 있습니다. 스키마 이론은 우리가 알고 있는 배경지식에 대한 이론입니다. 개인이 갖고 있는 경험의 총체가 스키마입니다. 

독서 지도 모형

독서 지도 모형과 오늘의 포스팅은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기본 교재인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2(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교재집필연구회, 스푼북)를 참고하면서 기록했습니다. 독서 지도 모형은 언어를 지각하고 언어의 구조를 이해하고, 언어 사용 목적과 동기와 세상사에 대한 지식, 인지와 정서적인 발달이 관련이 됩니다. 언어를 지각하고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내적 요인입니다. 언어 사용 목적과 동기, 세상사에 대한 지식, 인지와 정서적 발달은 외적 요인입니다. 사피어는 언어의 상대성을 강조하였고, 언어에 초점을 두고 언어가 사고형성의 도구적 기능을 갖는다고 생각했습니다. 독서를 언어 중심으로 설명하는 입장을 상향식 모형이라고 합니다. 독서를 사고 중심으로 설명하는 입장을 하향식 모형이라고 합니다. 하향식 모형에서는 독자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자로 설정합니다. 비고츠키는 독자의 사고를 우선적으로 생각하여 독서 과정을 설명합니다. 독자의 배경지식이 독서에 결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봅니다. 상향식 모형에서는 정확한 해독이 중요합니다. 읽기의 1초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절충적 관점에서는 상향식과 하향식의 절충 관점으로 언어자료와 독자 지식 모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의미 중심은 학습자와 이해 중심입니다. 하향식 모형에서는 배경지식을 중요하게 보고, 능동적인 독자로 설정합니다. 

동기유발

동기유발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인지적, 정서적인 특성을 활용해서 일관되게 행동하게 합니다. 동기 유발된 학습자는 목표 지향적인 특성을 드러냅니다. 무엇을 할 것인지가 명확해지고, 그 일을 하기 위하여 해야 하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해서 계획을 세웁니다. 동기는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내적 동기는 학생들 스스로 행동하도록 하고, 외적 동기는 보상이나 유인자를 통해서 추진력을 얻습니다. 독자의 내적 요인으로 자기 효능감이 있습니다. 앨버트 반두라의 제시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은 특정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해낼 수 있다고 믿는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입니다. 귀인 성향은 특정 행동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어느 곳에서 찾아내느냐에 대한 설명입니다. 성공과 실패의 원인을 주로 노력에 의해 축적된 능력, 노력, 운, 과제 난이도에 귀인합니다. 동기부여가 잘 되는 경우는 능력, 노력에 원인을 두는 경우입니다. 노력은 내가 시간을 더 투자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외적 요인은 내가 바꿀 수 있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본인이 조정할 수 있는 부분에는 시간을 더 들이고 노력할 수 있게 됩니다. 목표지향성은 수행 목표 성향과 학습 목표 성향이 있습니다. 수행 목표 성향은 결과와 평가에 중점을 둡니다. 학습 목표 성향은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알아가는 과정과 지식의 습득에 중점을 둡니다.